백전백승! 마케팅 보고서 쓰는 법!

domaelist.com / 2022-12-25

마케터라면 한 번쯤은 쓰게 될 보고서, 하지만 신입 마케터에게 있어 깔끔한 보고서를 작성하기란 너무나도 어려운 일이죠. 이렇게 고민하고 있는 마케터분들을 위해 오늘은 ‘마케팅 보고서 쓰는 법’에 대해 아주 짧고! 굵은! 핵심 포인트들만 쏙쏙 골라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케팅 보고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시각적 표현 방법 그리고 보고서에 활용하기 좋은 분석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릴테니 끝까지 함께 해주세요!

1. 통계분석

마케팅 보고서에는 데이터나 중요한 수치 자료가 많이 활용되기 될 텐데요. 따라서 기본적인 통계분석 방법은 이해해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시) 교차분석, 분산분석, 다차원척도법 등

2. 추상적, 단위적 오류 경계

보고서에는 추상적인 내용이 아닌 명확하고 잘 다듬어진 내용들이 들어가야 해요. 또한 단위적 오류 또는 유의성 검증 결과에만 의존하는 오류 등은 피해야 합니다!

3. 관념과 숫자의 조화

마케팅 보고서는 산업 전문성을 띈 컨설팅 보고서와 마케팅연구 전문성을 띈 마케팅 리서치 보고서 그 사이 어딘가에 존재합니다. 따라서 관념과 숫자가 적절히 조화될 필요가 있어요.

4. 당위적 결론 경계

마케팅 보고서 자체에서는 결론이 도출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구체적인 개선사항이나 대안의 도출 등 결론이 시작되는 것을 경계해야 해요.

1. 스토리라인 구상하기

보고서는 ‘서론-본론1-본론2-결론’ 순으로 구성되는 것이 기본이에요! 이 형태에서 변형하여 추가적인 스토리라인을 채워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2. 통일된 슬라이드 구성하기

모든 페이지마다 다 다른 컨셉으로 구성하는 것은 보고서 전체의 가독성을 낮출 수 있어요. 따라서 모든 페이지/슬라이드는 통일된 포맷으로 구성하여 심리적 안정과 시각적 집중 효과를 높여야 합니다.

3. 템플릿 활용하기

만약 직접 가독성 높은 보고서를 제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기존의 템플릿을 활용하는 것도 좋아요. 시중에는 보고서의 주제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이 존재하니 이를 카피하거나 또는 구매하여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4. 차트와 표는 단순하게 구성하기

하나의 차트에 3-4가지 이상의 정보를 담기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차트에는 하나의 메세지만 담자는 것을 기억해두면 좋아요. 심플한 레이아웃과 깔끔한 색깔을 활용하며 메시지와 차트에 들어간 내용 및 수치가 일치하는지 여부도 확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케터라면 꼭 알아 두면 좋을 분석법 3가지를 추천 드리고자 합니다! 다만, 하나의 보고서에 모든 분석법이 필수로 들어가야 하는 것은 아니니 주의해주세요!

1. SWOT 분석

출처: 세일즈포스

SWOT이란 Strengths(강점), Weaknesses(약점), Opportunities(기회), Threats(위협)을 뜻하는 말인데요. 마케터라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분석법이기도 하죠. 외부환경의 기회와 위협, 내부역량의 강점과 약점을 알아보기 쉽게 도표화한 분석 방법입니다.

2.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여러 사업부에 대한 유지, 철수 등의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에 필요한 분석 방법이에요. 여기에는 자세 BCG 매트릭스, GE 매트릭스, SPA 매트릭스 등이 있는데요. 하나 하나씩 살펴볼까요?

– BCG 매트릭스: 해당 매트릭스는 시장점유율과 사업의 성장률을 고려한다고 가정해요. 미국의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가 개발하여 BCG 매트릭스라고 불립니다.

– GE 매트릭스: GE 매트릭스는 BCG 매트릭스가 가지는 평가요인의 단순성을 보완하는 포트폴리오 분석 방법인데요. 매트릭스의 두 축은 시장매력도와 경쟁적 위치로 구성되어 있어요. 투자/성장전략, 선택/집중전략, 수확/철수전략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SPA 매트릭스: SPA 매트릭스는 GE 매트릭스와 비슷하게 시장매력도와 시장에서의 경쟁위치를 두 축으로 하여 기업의 사업단위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3. 3C분석

사실 3C 분석도 SWOT 분석만큼이나 익숙한 분석법이기도 하죠! 마케팅에서 3C는 경쟁환경 분석, 세분시장 매력도 평가, 제품의 포지셔닝 결정, 가격 전략 등에 자주 인용되곤 합니다. 경쟁환경 분석, 세분시장의 매력도 평가, 포지셔닝 결정에서 3C는 자사(Company), 소비자(Customer), 경쟁자(Competitor)를 의미해요. 한편, 가격전략 수립시의 3C는 고객가치(Customer Value)와 경쟁관계(Competition) 및 제품원가(Cost)를 의미합니다.



자료출처 : https://wepick.kr/tips/4360283/
Document

필독 정보 모음

마케터를 위한 도구